

오는 29일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 막을 올리는 창작뮤지컬 ‘친구’는 ‘부산의, 부산에 의한, 부산을 위한’ 뮤지컬이다. 안재모와 조형균, 이창민(2AM) 등 부산 및 경남 출신 배우들과 제작진이 모여 부산의 사투리와 정서를 실감 나게 구현할 예정이다. 공연기획사 비오엠코리아의 김옥진 과장은 “그동안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뮤지컬을 만들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공연 인력과 자본이 서울에 몰려 있어 어려웠다”면서 “‘친구’는 창작뮤지컬이 지방에서 먼저 장기 공연을 한 뒤 서울로 역진출하는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방송가에서는 케이블을 중심으로 팔도 문화의 향연이 펼쳐진다. tvN ‘응답하라 1994’는 전국 각지에서 모인 등장인물들이 유창한 사투리로 각 지역의 소소한 이야기들을 풀어낸다. 1994년 당시 경남 삼천포에는 KFC가 없었고, 허영만과 백일섭이 전남 여수 출신이라는 등 다른 지역 사람들은 절대 알 수 없는 사실들이 언급된다. 시청자들은 “TV 드라마에서 우리 지역 이야기를 듣다니 놀랍고 반갑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달 말 정규 편성되는 tvN ‘팔도방랑밴드’는 윤종신, 김흥국 등 5명의 가수가 전국 방방곡곡을 돌며 주민들과 음악으로 소통하는 프로그램으로, 팔도의 아름다운 풍경과 주민들의 이야기가 정겨움을 준다.

극장가에는 올 연말부터 부산 열풍이 다시 불어닥칠 전망이다. 오는 14일 개봉하는 영화 ‘친구2’는 교도소에 수감됐다 17년 만에 출소한 준석(유오성)의 이야기로, 곽경택 감독과 유오성 등이 뭉쳐 전작의 영광을 이어 간다. 또 현재 촬영 중인 ‘국제시장’은 부산 국제시장을 배경으로 한국전쟁 이후 격동의 현대사를 살아가는 서민들의 이야기를 펼쳐낼 예정이다.
이전에도 ‘지방색’을 담은 영화와 드라마는 꾸준히 있었다. 하지만 최근 부쩍 대중문화 전반에서 로컬 문화가 다뤄지는 분위기다. 여기에는 서울 중심의 콘텐츠가 갖는 한계에 대한 인식이 반영돼 있다. 사우스카니발이 소속된 레이블 루디시스템의 한국진 대표는 “홍대의 이름난 인디 밴드들도 지방에서 공연을 할 때는 (호응 면에서) 한계를 느끼는 경우가 많다”면서 “인디 음반 제작자들끼리는 로컬 신이 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공유하고 있고, 로컬 밴드들의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정 지역의 문화가 오히려 보편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도 한몫한다. CJ E&M의 이영균 방송홍보팀장은 “최근 ‘향수’나 ‘복고’가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이를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로컬 문화가 많이 차용되고 있다”면서 “‘팔도’라는 소재는 역설적으로 사회 통합적인 가치도 갖고 있어 더욱 선호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