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승원 주연 ‘싱크홀’ 11일 개봉
▲ 오는 11일 개봉하는 영화 ‘싱크홀’은 집이 통째로 500m 지하로 떨어졌다는 참신한 발상(아래) 위에 차승원(위)·이광수 배우 등의 코믹 연기가 장식처럼 흩뿌려지면서 잔잔한 웃음을 선사한다. 쇼박스 제공 |
●김지훈 감독 ‘타워’와 다른 탈출극
오는 11일 개봉하는 영화 ‘싱크홀’은 이처럼 상상조차 하기 싫은 참신한 소재에서 비롯된 험난한 탈출극을 담았다. 초고층 빌딩 화재를 소재로 한 ‘타워’(2012)로 518만 관객을 동원한 김지훈 감독이 다시 메가폰을 잡았다.
아내와 아들을 둔 회사원 동원(김성균 분)은 11년 만에 내 집 마련에 성공해 빌라로 이사를 왔지만, 같은 빌라 이웃 주민 만수(차승원 분)와 사사건건 부딪친다. 그러나 정작 동원이 걱정해야 할 점은 따로 있었다. 직장 동료를 집들이에 초대했지만, 다음날 아침 땅이 갈라지기 시작하더니 집이 통째로 500m 아래 싱크홀에 빠지게 된 것. 동원과 함께 술을 진탕 마신 김 대리(이광수 분)와 인턴사원 은주(김혜준 분)는 물론 만수와 그의 아들 승태(남다름 분)도 지하에 함께 고립돼 생사고락을 같이해야 한다.
●만화적 상상 재미… 휴머니즘에 초점
●부성애·MZ세대 풍자도 볼거리
빚을 내서 겨우 11년 만에 마련한 집, 몇 달 만에 수억원씩 오르는 아파트값, 집을 살 수 없어 결혼하지도 못한다는 MZ세대의 자조 등은 세태 풍자적 재미를 보탠다. 각자의 아들을 지키려는 동원과 만수의 부성애는 잔잔한 감동 요소다. 김 감독은 “전작 ‘타워’가 재난에 포커스를 맞춘 작품이었다면, ‘싱크홀’에서는 인간적이고 희망적 메시지를 보여 주려 했다”고 설명했다.
● 후반부 갈수록 긴장감 떨어져
그럼에도 주인공들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영화 속 재난 희생자들을 제대로 챙기지 않았고, 재난의 원인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 주지 못한 점은 한계다. 재난 블록버스터와 코미디 장르를 모두 겨냥했지만, 코미디가 전반적 분위기를 가볍게 만들어 휴머니즘이 주는 감동이 다소 깊지 못하다. 고립된 상황이란 공간적 한계 속에서 한꺼번에 많은 것을 담아내려다 보니 영화 후반부로 갈수록 재난의 긴박함과 긴장감이 무뎌지는 아쉬움도 남는다. 다만 평범한 시민들의 초상을 담아 재난을 재현하고 잔잔한 웃음을 더한 여름 오락 영화로선 후회하지 않을 선택이 될 듯하다. 12세 관람가.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