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BTS, 세븐틴, 엔하이픈 등을 거느린 하이브의 올해 상반기 매출 4569억원 가운데 국내 비중은 24.96%에 그쳤다. 북미가 19.83%, 아시아가 11.27%, 기타 국가가 2.31%였다. 온라인 매출이 전체의 41.44%를 차지했지만 대부분 해외 매출로 추정된다는 게 하이브 측 설명이다. 트와이스와 스트레이키즈 등이 속한 JYP엔터테인먼트도 올해 상반기 매출 729억원 가운데 수출이 395억원, 내수가 333억원으로 집계됐다. JYP 매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음반·음원 매출 분야에서는 올해 상반기 수출이 196억원, 내수가 216억원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음반·음원 매출이 수출 84억원, 내수 243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할 때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는 추세다.
케이팝의 또 다른 주요 소비 채널인 유튜브에서는 해외 팬들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컸다. 유튜브에 따르면 블랙핑크의 최근 1년간 유튜브 조회 수는 91억 5000만건이다. 이 가운데 국내 조회 수는 3억 6100만건으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고작 4.0%에 불과했다. 케이팝의 해외 인기가 수직 상승하면서 전 세계 팬을 고객으로 삼는 온라인 유통 채널도 빠르게 성장 중이다. 케이팝 음반과 굿즈 등을 판매하는 ‘K타운포유’를 운영하는 HM인터내셔날의 지난해 연매출은 1773억원으로 전년 대비 133.4%나 급증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