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시청률과 상관없이 배우는 뜬다?’

지금까지는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에서 스타를 배출하는 것이 당연한 공식처럼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의 추세를 보면 시청률과 스타 탄생이 꼭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시청률이 낮아도 신인 스타를 대거 배출하거나 연기력을 인정받은 배우에겐 플러스 요인이 되기도 한다.



16일 종영한 SBS 월화드라마 ‘닥터챔프’는 태릉선수촌을 배경으로 자극적인 설정이나 무리한 전개 없이 감동을 이끌어내 ‘착한 드라마’라는 호평을 받았지만, 평균 시청률은 11.5%에 머물렀다. 그러나 지헌 역을 맡은 정겨운은 지금까지의 부잣집 아들 캐릭터를 벗고 우직한 운동선수로 이미지 변신에 성공했다.

SBS 드라마 ‘검사 프린세스’(검프)에 이어 MBC 월화드라마 ‘역전의 여왕’에 출연 중인 박시후도 시청률과 관계없이 스타로서의 입지를 확실히 다진 경우다. 그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검프’는 나의 출연작 중 시청률이 가장 낮았지만 체감 인기는 가장 높아 의아했다.”면서 “시청률의 의미가 점차 변화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얼마 전 종영한 KBS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도 같은 맥락에 있는 작품이다. ‘동이’, ‘자이언트’에 밀려 한번도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차지하지 못했지만 믹키유천, 유아인 등 주연 배우 4명을 모두 스타덤에 올려 놓았다.

이는 작품성과 시청률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것처럼 스타성 역시 별개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꼭 본방송을 시청하지 않더라도 인터넷 다운로드를 통해 꼼꼼히 드라마를 뜯어보는 젊은층이 늘어나면서 일단 마니아층의 눈에 띄면 무서운 속도로 입소문을 타는 경우가 많다.

대중문화평론가 정덕현씨는 “요즘 인기 있는 통속극은 시청률은 높을지 몰라도 역할이 정형화되거나 검증된 배우 위주로 캐스팅이 이뤄져 한계를 노출한다.”면서 “반면 젊은층을 대상으로 한 실험적인 작품은 신선한 캐릭터를 앞세우는 만큼 신인 스타가 발굴되거나 기존의 스타가 재발견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