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나정이, 쓰레기, 칠봉이, 삼천포, 해태, 윤진이, 빙그레…. 지난 29일 종영한 tvN ‘응답하라 1994’의 7인 7색 청춘들은 극 중 1994년 스무살을 시작으로 각기 다른 성장을 거쳤다. 두려운 서울 생활과 첫사랑, 꿈을 찾는 방황 등 이들의 경험은 20대를 거친 이 시대 모든 이들의 성장통과 맞닿아 있었다. 드라마가 막을 내렸는데도 여전히 ‘응사 앓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팬들. ‘신촌하숙 아이들’을 떠나보내지 못하는 사연을 일곱 청춘들에게 들어봤다.

성나정 쓰레기 오빠에게 용기를 내 고백했지만 하필 만우절이었고, 사랑스럽게 마음을 표현하고 싶지만 꼬집기와 깨물기밖에 할 줄 몰랐다. 그 나이의 사랑은 그렇게 다들 서툴렀다. 오빠 앞에서 그저 동생일 수밖에 없어 힘들어하고 오빠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에 심장이 내려앉는 나정이의 모습은 ‘오빠’를 짝사랑해 본 이들이라면 공감할 수밖에 없다.(정이나(28·여)씨)

■쓰레기 신입생 환영회에서 빙그레의 가방을 대신 메고 산에 오른 이도, 빙그레가 의대를 휴학할 때 묵묵히 지켜봐 주던 이도 쓰레기였다. 집안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뿐 인생의 꿈이나 목표는 없었던 스무살의 나에게도 쓰레기 같은 든든한 선배가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박선균(30·남)씨)

칠봉이 내 첫 번째 짝사랑은 섣불리 고백했다 거절당했다. 두 번째 짝사랑은 망설이다 놓쳐 버렸다. 칠봉이는 당당하게 고백했고 이루지 못한 짝사랑 대신 가족 같은 친구들을 얻었다. 첫사랑을 젊은 날의 추억으로 남기고 성장한 칠봉이처럼 내 짝사랑도 그저 상처투성이만은 아니었기를.(이재희(28·여)씨)

■삼천포 김해가 고향인 나에게 서울은 ‘눈 감으면 코 베어 가는’ 곳이었다. 복잡한 지하철도, 바쁜 발걸음을 옮기는 사람들도, 모든 게 두려웠다. 처음 서울 땅을 밟은 삼천포의 에피소드에 울컥 눈물이 난 건 나뿐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촌티’를 벗고 서울 사람 다 된 삼천포처럼 언젠가는 어엿한 서울 사람이자 어른이 될 내 모습을 상상하니 기분이 묘하다.(김성진(29·남)씨)

■해태 “어이, 친구.” 해태가 가장 많이 했던 말이다. 때로는 삼천포에게 얄밉게 굴기도 했지만 친구를 위해서라면 선배와도 맞짱 뜰 줄 아는 게 해태였다. 대학 시절 해태와 꼭 닮은 친구가 있었다. 정작 자신은 집안도 어렵고 취업도 제일 늦었지만 내가 연락하면 늘 술을 마시러 나왔던 그 친구, 지금도 그 자리에 있을까?(김종혁(33·남)씨)

조윤진 오직 ‘태지 오빠’뿐이던 윤진이는 삼천포를 만나면서 변해 갔다. 마음의 문을 열어 친구들을 만나고 삼천포에게 자신을 맞춰 가는 법도 배웠다. 스물한살에 사랑의 꽃을 피운 윤진이와 삼천포는 20대의 성장과 30대의 고된 삶을 함께 했다. 스무살에 만나 스물네살까지 함께 했던 내 첫사랑이 떠오르며 어느새 흐뭇해진다.(이성희(27·여)씨)

빙그레 재수 끝에 대학에 들어갔지만 내가 원하는 길은 아니었다. 부모님 몰래 휴학을 하고 다시 재수학원에 들어갔다. 빙그레가 그랬던 것처럼 부모님이 부쳐 주시는 등록금과 안부를 묻는 전화 앞에서 울컥한 가슴을 다독여야 했다. 그때의 치열했던 고민과 가슴앓이, 1994년의 빙그레는 스무살의 나 그대로였다.(정현기(32·남)씨)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