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영화의 계절이다. ‘미확인 동영상:절대클릭금지’는 올해 공포영화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작품이다. 영화의 스타일은 근래 십대들의 사랑을 받았던 공포영화를 따랐다. 공포의 속성에 충실하게 접근하는 대신 청소년의 문화에 집중하고 거기서 공포를 안겨줄 만한 소재를 찾아낸 쪽이다. 당연히 성인 취향의 본격 공포영화를 기대한 관객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영화이며 ‘령’(2004), ‘므이’(2007)에 이어 세 번째 공포영화를 선보인 김태경 감독의 이력을 감안하면 적잖이 실망스럽다. 하지만 이것은 한국에서 비주류 장르로 취급받는 공포영화로 살아남기가 어렵다는 사실의 방증이기도 하다.
‘미확인 동영상’은 보는 것을 통한 쾌감에 통제력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작품이다. 웹의 중심이 문자와 이미지에서 움직이는 영상으로 옮겨 가면서 원하는 만큼 동영상에 접근하는 게 가능해졌다. 쉽게 소화할 수 있는 동영상 문화의 폭발은 일각에서 잘못된 생산과 소비 행태를 낳았다. 누군가가 본질과 상관없는 자극적인 영상을 웹상에 풀어놓으면 떠도는 영상을 주워 본 사람들은 무책임한 발언을 쏟아내는 것으로 반응한다. 엄청난 파급 효과가 자칫 거대한 언어의 폭력을 조장할 경우 그 때문에 상처받을 사람이 생겨나게 마련이다.
‘미확인 동영상’은 어느새 사회 문제로 자리 잡은 쟁점을 재빠르게 영화 소재로 사용했다. 이런 영화의 주 소비층인 십대의 관심사를 공략한 결과다. 동영상의 폐해라는 주제를 십대 관객층에 맞춰 아주 쉽게 전달하기도 한다. 계절용 상업영화인지라 그러한 태도 자체를 비판하고 싶지는 않다. 이 영화의 빈틈은 멈추어야 했을 지점에서 과욕을 부린 데서 발생한다. 동영상에 깃든 영혼과 십대의 문화를 연결하는 데만 주력했으면 좋았을 텐데 ‘미확인 동영상’은 매듭짓지 못할 이야깃거리까지 끌어들였다.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못하는 것들은 공포영화이니 넘어갈 수 있겠으나 줍다가 버린 이야기들은 영화의 구조를 무너뜨린다.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와 시선의 홍수’ ‘가족의 위기와 십대의 방황’은 영화의 성격상 함께 다루기엔 버거운 주제인데 감독은 전부 손에 쥐고 있다 슬며시 놓치고 만다. 그 밖에 공간, 미술, 음악 등에 들인 공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한국 공포영화의 고질적인 과제들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공포영화를 만들려는 감독은 최소한 이것만이라도 기억해주면 고맙겠다. 보는 사람보다 배우가 먼저, 그리고 더 크게 놀라는 공포영화를 만들면 안 된다. 5월 30일 개봉.
영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