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일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전파의 진원지로 지목해 이름을 공개한 평택성모병원이 지난달 31일 잠정 폐쇄된 직후의 모습. 병원 직원들이 썰렁해진 병원 바깥을 살펴보고 있다.<br>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에어컨 의료진 통해 확산 추정 “평택성모병원 환경에 문제” 환기구+배기구 없다?

‘에어컨 의료진 통해 확산 추정’

메르스 바이러스가 평택성모병원 에어컨 의료진 통해 확산된 것으로 추정돼 화제다.

5일 새벽까지 확인된 메르스 확진자 41명 중 30명이 이 병원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나머지 사례 중 다수도 이 병원에서 파생된 감염으로 파악됐다.

메르스 민간합동대책반의 역학조사위원장인 최보율 한양대 교수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병실마다 있어야 하는 환기구와 배기구가 없었다”고 밝혔다.

최초 감염자의 기침으로 공기 중에 나온 침방울과, 바이러스로 오염된 손과 접촉한 환자복과 리넨 등에서 발생한 먼지 등은 환기나 배기가 되지 않은 채 병실 안에 고농도로 쌓이게 된 것.

이런 오염된 물방울과 먼지 등을 빨아들인 에어컨은 찬공기를 배출하면서 바이러스를 가스(에어로졸) 상태로 공기 중에 내뿜은 것으로 추정된다.

에어로졸 상태가 된 침방울 입자 등은 훨씬 먼 공간까지 떠서 이동, 다른 병실과 층까지 도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5개 병실에서 에어컨 필터를 꺼내 조사한 결과 아르엔에이(RNA) 바이러스 조각이 검출된 것은 이러한 의심을 뒷받침한다. 병원 내 환자 손잡이 등 다른 환경검체에서도 바이러스가 발견됐다.

앞으로 보건당국은 메르스 에어로졸이 어디까지 도달할 수 있을지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조사팀이 발견한 또 하나의 바이러스 전달자는 의료진이다.

환자가 집중 발생한 병동에 근무한 간호인력들도 확진자로 나왔는데, 이들이 감염된 상태로 병실을 돌면서 병원체를 더욱 퍼뜨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서울신문DB(에어컨 의료진 통해 확산 추정, 에어컨 의료진 통해 확산 추정)

뉴스팀 seoule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